본문 바로가기
펜드로잉

나만의 드로잉 스타일 찾기 (방법, 연습법)

by PenAndLines 2025. 4. 18.
반응형

펜 드로잉 초보자를 위한 스타일 찾기. 모사 드로잉, 감정 표현, 좋아하는 주제 찾기 등 나만의 선과 감성을 키우는 실전 연습법을 소개합니다.  


펜 드로잉을 어느 정도 연습하다 보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제는 뭔가 나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보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처음 펜을 쥐고 선을 그을 때는 눈앞의 형태를 따라 그리는 데도 버겁지만,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표현’이라는 단어에 더 관심이 생깁니다. 꼭 실력이 뛰어나지 않아도, 그 사람만의 개성과 분위기가 묻어나는 그림은 늘 눈에 띄기 마련이죠. 하지만 스타일이라는 건 억지로 만들어지는 게 아닙니다. 자연스럽게, 꾸준히 그리는 과정 속에서 내가 어떤 선을 자주 쓰는지, 어떤 장면을 좋아하는지, 어떤 방식이 편한지가 조금씩 드러나면서 서서히 ‘나만의 드로잉 언어’로 자라납니다. 저의 경우는 풍경드로잉을 할 때 마음이 편합니다.

유명 작가 작품 모사
유명 작가의 그림을 따라 그린 그림

나만의 스타일을 찾는 방법

오늘은 펜 드로잉 초보자가 나만의 스타일을 찾는 방법과 연습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스타일이란 내 손이 가장 편안해하는 선, 내가 자주 사용하는 구도, 내가 자주 그리는 주제의 반복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이런 요소들이 모여 하나의 ‘나만의 감성’이 되고, 보는 사람들에게도 그만의 분위기로 인식됩니다.
 
드로잉 스타일을 구성하는 요소
선의 느낌 (가늘고 섬세한가, 굵고 거친가)
명암 표현 방식 (해칭, 점묘, 단순 명암 등)
선호하는 주제 (인물, 풍경, 감정 표현 등)
구도와 시선 처리 (복잡한 장면, 미니멀한 구성 등)
감정의 개입 정도 (감성 중심인지, 사실 묘사 중심인지)
처음에는 의식하지 않아도, 그림을 그리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이 요소들이 점점 구체화됩니다.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고, 나만의 흐름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작가의 스타일을 따라 그려보자
스타일을 찾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다양한 작가들의 그림을 따라 그려보는 것입니다. 이를 ‘모사 드로잉’이라고 부르며, 초보자에게는 매우 효과적인 학습법입니다. 단순히 따라 그리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손으로 직접 그려보면 그 작가가 어떤 선을 사용했는지, 왜 그런 구도를 선택했는지, 어떤 부분을 강조했는지가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추천 연습 방법
일주일에 한 명씩, 좋아하는 스타일의 작가를 정합니다.
해당 작가의 작품 중 한두 점을 골라 A4 용지에 펜으로 모사합니다.
단순히 ‘잘 그리는 것’보다는 ‘무엇이 인상적인지’를 기록합니다.
마지막에는 “내가 이 작가에게서 배우고 싶은 표현은 무엇인가?”를 정리해 봅니다.
이렇게 몇 명의 작가를 따라 그려보면 ‘내가 어떤 표현을 좋아하는지’가 훨씬 또렷해지고, 그걸 내 스타일로 녹이는 감각도 자연스럽게 생겨납니다.

나만의 스타일을 키우는 연습법

모사 드로잉을 통해 감각을 익혔다면, 이제는 나만의 방식으로 표현을 실험해 볼 단계입니다. 실력이 부족해도 괜찮습니다. 오히려 이 시기는 다양한 시도를 많이 해볼수록 좋습니다.
 
감정 키워드 드로잉
‘슬픔’, ‘기쁨’, ‘불안’, ‘설렘’ 등 감정을 키워드로 정합니다.
그 감정에 어울리는 선, 형태, 분위기를 그림으로 표현해 봅니다.
감정에 따라 선이 바뀌고, 형태가 흐려지거나 정돈되는 과정을 느껴보세요.
감정이라는 비형태적 요소를 그림으로 표현하려고 시도해 보면, 선의 성질과 표현력이 더욱 깊어집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 그리기 리스트
평소 내가 좋아하는 것을 10개 정도 적어봅니다.
(예: 커피잔, 고양이, 비 오는 창밖, 책상 위, 손글씨, 창문 등) 그중 세 가지를 골라 그날의 드로잉 주제로 삼고 그림을 그려봅니다. 이 연습은 무언가를 '잘 그리기'보다는, 내가 무엇을 그리고 싶은지를 파악하고, ‘내가 그릴 때 편안한 그림’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상상 속 굿즈 만들기
내가 그린 그림으로 엽서나 스티커를 만든다면 어떤 느낌일지 상상해 봅니다.
실제로 엽서 크기의 종이에 구성을 해보거나, 굿즈 테마를 정해 연습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 연습은 단지 그림을 그리는 것을 넘어, 내가 어떤 분위기나 구성에 익숙한지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스타일은 억지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드러나는 것’ 많은 사람들이 스타일을 "특별한 무언가"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아주 단순한 원칙이 있습니다. 스타일은 “자주 하는 것”이 곧 “나만의 표현”이 됩니다. 처음엔 정답 없이 헤매는 느낌이 들 수 있지만, 반복하는 가운데 길이 보입니다. 자주 쓰는 선의 흐름, 자주 선택하는 구성, 나도 모르게 끌리는 주제, 이런 모든 것들이 곧 당신의 스타일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그림을 잘 그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그림을 ‘지속적으로’ 그리는 것입니다. 스타일은 정해진 기준이나 기술로만 만들어지는 게 아닙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그려나가는 과정에서 저절로 발견됩니다. 비교하지 않기, 조급해하지 않기, 그리고 즐기기. 이 세 가지를 기억하면서, 오늘도 나만의 선으로 하루를 기록해 보세요. 그 선이 곧, 하나뿐인 당신의 드로잉 스타일입니다.  

반응형